맨위로가기

세이셸 크리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이셸 크리올어는 1770년 모리셔스에서 온 프랑스 정착민들이 세이셸에 정착하면서 형성된 언어이다. 노예 해방과 동아프리카 반투족의 유입으로 인해 모리셔스 크리올어와는 다른 언어로 발전했다. 1976년 세이셸 독립 이후, 세이셸 크리올어는 영어, 프랑스어와 함께 세이셸의 공용어로 지정되었으며, 현재 세이셸 인구의 대다수가 모국어로 사용한다. 세이셸 크리올어는 주어-동사-목적어 어순을 따르며, 프랑스어에서 유래된 어휘를 포함하여 다양한 언어의 차용어를 사용한다. 2024년에는 구글 번역에 추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이셸의 언어 - 프랑스어
    프랑스어는 프랑스를 포함한 전 세계 29개국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로망스어군 언어로, 속라틴어가 갈리아어 및 프랑크어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국제기구 공용어로서 외교 무대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고 현재 문화, 경제, 교육, 특히 아프리카에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 세이셸의 언어 - 영어
    영어는 앵글로색슨족의 언어에서 유래하여 잉글랜드에서 발전한 서게르만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대영제국과 미국의 영향으로 세계적으로 널리 쓰이며 국제적인 의사소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프랑스어 기반 피진과 크리올 - 차고스 크리올
  • 프랑스어 기반 피진과 크리올 - 아이티어
    아이티어는 아이티에서 사용되는 크리올 언어로, 포르투갈어에서 유래된 어원을 가지며 프랑스어에 뿌리를 두고 서아프리카 언어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고, 1987년 아이티 헌법에서 프랑스어와 함께 공용어로 지정되어 문학 작품에도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 언어에 관한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언어에 관한 - 슬로바키아어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의 공용어이자 약 500만 명이 사용하는 서슬라브어군 언어로, 라틴 문자 기반의 고유한 문자를 사용하며 체코어와 유사하고 폴란드어 등 다른 슬라브어와도 연관성을 가진다.
세이셸 크리올
지도
언어 정보
언어 이름세이셸 크리올어
고유 이름kreol, seselwa
사용 국가세이셸
사용자 수72,700명
사용 시기1998년
문자 체계라틴 문자
언어 계통크리올어
하위 계통프랑스어 기반 크리올어, 부르봉 크리올어
관련 언어차고스 크리올어
공인 기관Lenstiti Kreol
ISO 639-3crs
Glottologsese1246
Linguist List51-AAC-cea (& -ceb)
세이셸 크리올어가 사용되는 세이셸의 위치
사용자 정보
민족세이셸 크리올

2. 역사

세이셸은 1770년 모리셔스 섬 출신 프랑스 정착민들에 의해 최초로 정착되었다. 섬의 인구는 대부분 흑인 노예들로 구성되었고, 소수의 백인과 자유 흑인들이 있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노예 인구가 사용하던 모리셔스 크리올어는 모리셔스 크리올과는 별개의 크리올어로 간주될 만큼 충분히 달라졌다. 1835년 세이셸 노예 해방과 그 이후 동아프리카에서 반투족이 섬으로 유입되면서 더욱 차이가 커졌다.[1]

1976년 독립 이후 세이셸 정부는 세이셸 크레올어를 하나의 언어로 발전시키기 위해 세이셸 크레올어 학회(Lenstiti Kreol Sesel)를 설립했다.

2. 1. 초기 정착 및 언어 형성 (18세기)

세이셸은 1770년에 모리셔스 섬 출신 프랑스 정착민들에 의해 최초로 정착되었다. 섬의 인구는 대부분 흑인 노예들로 구성되었고, 소수의 백인과 자유 흑인들이 있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노예 인구가 사용하던 모리셔스 크리올어는 모리셔스 크리올어와는 별개의 크리올어로 간주될 만큼 충분히 달라졌다. 1835년 세이셸 노예 해방과 그 이후 동아프리카에서 반투족이 섬으로 유입되면서 더욱 차이가 커졌다.[1]

2. 2. 노예 해방과 반투어 유입 (19세기)

1835년 세이셸에서 노예 해방이 이루어졌고, 이후 동아프리카에서 반투족이 섬으로 유입되면서 세이셸 크리올은 모리셔스 크리올과의 차이가 더욱 커졌다.[1]

2. 3. 로돌핀 영의 우화 각색 (20세기 초)

로돌핀 영(1860~1932)은 1900년경 라 퐁텐의 우화 49편을 세이셸 크리올로 각색하였으나, 이는 1983년에야 출판되었다.[2]

3. 지위

세이셸에서 널리 사용되는 세이셸 크리올은 1978년부터 세이셸의 세 가지 공용어 중 하나로 지정되었으며,[1] 현재 세이셸 인구의 99% 이상이 모국어로 사용하고 있다.[1] 세이셸 크레올어는 세이셸의 음악, 문학, 정치, 공공 사용 및 대중 매체의 주요 언어이지만, 세이셸 문학은 영어 문학으로 점차 대체되고 있다.[3] 세이셸 법률은 영어로 작성되지만, 국민의회에서는 크레올어가 사용된다.[4] 2024년에는 구글(Google)이 구글 번역(Google Translate)에 세이셸 크레올어를 추가했다.[5]

3. 1. 공용어 지정 및 발전 노력 (20세기 후반)

세이셸은 1976년에 독립을 얻었으며, 1978년부터 세이셸 크레올어는 세이셸의 세 가지 공용어 중 하나가 되었다.[1] 현재 세이셸 인구의 99% 이상이 모국어로 사용하고 있다.[1] 세이셸 크레올어는 세이셸의 음악, 문학, 정치, 공공 사용 및 대중 매체의 주요 언어이다. 하지만 세이셸 문학은 영어 문학으로 점차 대체되고 있다.[3]

세이셸 법률은 영어로 작성되지만, 국민의회의 공용어는 크레올어이며, 회의록은 공식적인 환경에서 현대적인 사용을 보여주는 방대한 자료를 제공한다.[4]

1976년 독립 이후 세이셸 정부는 세이셸 크레올어를 하나의 언어로 발전시키기 위해 세이셸 크레올어 학회(Lenstiti Kreol Sesel)를 설립했다.

2024년 6월 27일 구글(Google)은 세이셸 크레올어를 구글 번역(Google Translate)에 추가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후 세이셸 크레올어는 세셀와 크레올 프랑스어(Seselwa Creole French)라는 이름으로 추가되었다.[5]

3. 2. 현대의 위상 (21세기)

세이셸은 1976년에 독립을 얻었으며, 1978년부터 세이셸 크레올어는 세이셸의 세 가지 공용어 중 하나가 되었다.[1] 현재 세이셸 인구의 99% 이상이 모국어로 사용하고 있다.[1] 세이셸 크레올어는 세이셸의 음악, 문학, 정치, 공공 사용 및 대중 매체의 주요 언어이다. 하지만 세이셸 문학은 영어 문학으로 점차 대체되고 있다.[3]

세이셸 법률은 영어로 작성되지만, 국민의회의 공용어는 크레올어이며, 회의록은 공식적인 환경에서 현대적인 사용을 보여주는 방대한 자료를 제공한다.[4]

2024년 6월 27일 구글(Google)은 세이셸 크레올어를 구글 번역(Google Translate)에 추가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후 세이셸 크레올어는 세셀와 크레올 프랑스어(Seselwa Creole French)라는 이름으로 추가되었다.[5]

3. 3. 국민의회에서의 사용

세이셸 법률은 영어로 작성되지만, 국민의회의 공용어는 크레올어이며, 회의록은 공식적인 환경에서 현대적인 사용을 보여주는 방대한 자료를 제공한다.[4]

3. 4. 구글 번역 추가 (2024년)

2024년 6월 27일 구글(Google)은 세이셸 크레올어를 구글 번역(Google Translate)에 추가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후 세이셸 크레올어는 세셀와 크레올 프랑스어(Seselwa Creole French)라는 이름으로 추가되었다.[5]

4. 언어학적 특징

세이셸 크리올어는 동사가 장동사와 단동사의 두 가지 형태를 취하며, 사동 목소리는 ''fer''(만들다)라는 단어로 표시되고, 재귀 목소리는 표시가 없거나 ''li, mekor,'' 및 ''limenm''이라는 단어로 표시된다.[1]

4. 1. 통사론

세이셸 크리올어는 주어-동사-목적어 어순을 따른다.[1]

4. 2. 대명사

세이셸 크리올어의 대명사는 성별 구분이 없으며, 종속 주어, 독립 주어, 관형사적 소유격의 세 가지 범주로 나뉜다. 종속 대명사는 주어로만 사용될 수 있고 목적어로는 사용될 수 없지만, 독립 대명사는 주어와 목적어 모두로 사용될 수 있다.[1]

종속독립관형사적 소유격
1인칭 단수monmwanmon
2인칭 단수ououou
3인칭 단수ilison
1인칭 복수nounounou
2인칭 복수zotzotzot
3인칭 복수zotzotzot


4. 3. 동사

세이셸 크리올어의 동사는 장동사와 단동사의 두 가지 형태 중 하나를 취한다. 단동사는 동사 바로 뒤에 명사가 오거나 부사가 있을 때 사용되고, 그 외의 경우에는 장동사가 사용된다.[1]

장동사 대 단동사[1]
장동사단동사
retourn-enretourn
donn-endonn
sant-esant



사동 목소리는 ''fer''(만들다)라는 단어로 표시되며, 재귀 목소리는 표시가 없거나 ''li, mekor,'' 및 ''limenm''이라는 단어로 표시된다.[1]

5. 방언

세이셸에서 사용되는 언어에는 지리적 요인에 따른 약간의 변이가 있지만, 형태론과 어휘의 차이는 미미하여 별개의 방언이라고 할 만큼의 차이는 아니다.[3] 세이셸 크리올어의 유일한 별개의 비표준 방언은 차고스 크리올어이며, 차고시안들이 영국, 모리셔스, 그리고 세이셸에서 사용한다.[6]

6. 어휘

세이셸 크리올어는 프랑스어에서 많은 어휘를 차용했지만, 다른 언어의 영향도 받았다.

다양한 어휘 종류에서 다양한 언어의 차용어 비율[7]
영어프랑스어동부 반투어마다가스카르어인도어포르투갈어칸어중국어아랍어알 수 없음차용어 총계차용어 아님
명사5.6%2.6%2%1.3%0.9%0.7%0.3%0.1%0.1%1.1%14.6%85.4%
동사2.4%0.2%0.2%0.8%0.2%0.2%4.1%95.9%
형용사2.2%1.6%1.4%2.2%7.3%92.7%
부사0%100%
기능어0.9%0.9%99.1%
총계4.2%1.6%1.4%1.2%0.9%0.4%0.2%0.1%0.1%0.7%10.7%89.3%



세이셸 크리올어의 차용어 중 현대 세계, 전쟁/사냥, 음식과 음료, 동물, 가정과 관련된 단어는 차용어 비율이 10%를 넘는 반면, 인지, 감정, 사회 및 정치적 관계, 물리적 세계와 관련된 단어에는 차용어가 없다.[7]

6. 1. 프랑스어와의 비교

몇몇 세이셸 크리올어 단어는 프랑스어에서 유래했는데, 프랑스어의 정관사(`le`, `la`, `les`)가 단어의 일부가 된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미래'는 `lavenir`(프랑스어 `l'avenir`)이다. 소유격은 대명사와 같아서, '우리의 미래'는 `nou lavenir`이다. 마찬가지로 복수형에서 프랑스어의 `les Îles Éloignées Seychelles`('외딴 세이셸 제도')는 크리올어로 `Zil Elwanyen Sesel`이 되었다. `Zil`의 `z`에 유의해야 한다. 프랑스어에서 `les Îles`는 로 발음된다.

언어단어
크리올어Noutoubezwentravayansanmpoukrenoulavenir
프랑스어 (IPA)
프랑스어Nousavonstousbesoindetravaillerensemblepourcréernotreavenir
번역우리모두필요로 하다~에일하다함께~위하여창조하다우리의미래
어휘 분석우리가지다모두필요로 하다~에일하다함께~위하여창조하다우리의미래



세이셸 크레올어프랑스어일본어
`Bonzour, Bonzur``Bonjour``おはようございます、こんにちは|오하요-고자이마스, 곤니치와일본어`
`Bonswar``Bonsoir``こんばんは|곤방와일본어`
`Bonnwit``Bonne nuit``おやすみなさい|오야스미나사이일본어`
`Wi``Oui``はい|하이일본어`
`Non``Non``いいえ|이이에일본어`
`Mersi``Merci``ありがとうございます|아리가토-고자이마스일본어`
`Silvouple``S’il vous plaît``お願いします|오네가이시마스일본어`
`Orevwar``Au revoir``さようなら|사요-나라일본어`


6. 2. 차용어

다양한 어휘 종류에서 다양한 언어의 차용어 비율[7]
영어프랑스어동부 반투어마다가스카르어인도어포르투갈어칸어중국어아랍어알 수 없음차용어 총계차용어 아님
명사5.6%2.6%2%1.3%0.9%0.7%0.3%0.1%0.1%1.1%14.6%85.4%
동사2.4%0.2%0.2%0.8%0.2%0.2%4.1%95.9%
형용사2.2%1.6%1.4%2.2%7.3%92.7%
부사0%100%
기능어0.9%0.9%99.1%
총계4.2%1.6%1.4%1.2%0.9%0.4%0.2%0.1%0.1%0.7%10.7%89.3%



세이셸 크리올어의 차용어 중 현대 세계, 전쟁/사냥, 음식과 음료, 동물, 가정과 관련된 단어는 차용어 비율이 10%를 넘는 반면, 인지, 감정, 사회 및 정치적 관계, 물리적 세계와 관련된 단어에는 차용어가 없다.[7]

7. 예문

세이셸 크리올어의 예시는 주기도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7. 1. 주기도문

세이셸 크레올어영어


참조

[1] 웹사이트 APiCS Online - Survey chapter: Seychelles Creole https://apics-online[...] 2024-10-06
[2] 웹사이트 Fables de La Fontaine traduites en créole seychellois http://www.potomitan[...] Hamburg 1983
[3] 논문 Seychelles Creole structure dataset https://apics-online[...] Max Planck Institute for Evolutionary Anthropology 2024-10-08
[4] 웹사이트 National Assembly - Hansard - Verbatim https://www.national[...]
[5] 웹사이트 Launching New Languages https://support.goog[...] 2024-06-27
[6] 서적 26. An annotated list of creoles, pidgins and mixed languages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7] 서적 Loanwords in the World's Languages: A Comparative Handbook https://www.degruyte[...] De Gruyter Mouton 2009-12-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